청소년 심리상담
청소년 시기는 아이가 성장하는 만큼 고민의 주제가 변화하고 다양해지는 시기이므로 증상에 따라 맞춤 심리상담을 진행합니다.
불안감으로 인해 어떤 특정 생각이나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
유전일까, 심리적인 문제일까?
강박증에 대한 원인은 크게 생물학적 요인과 심리학적 요인으로 나눠집니다.
|
생물학적 요인
강박장애는 유전성이 강한 질환으로 가족 중에 강박장애가 있으면 아이가 강박장애를 가질 확률이 최소 4배 증가합니다. 대뇌의 기저핵과 전두엽의 상호연계에 세로토닌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부족할 경우 발생하기도 합니다. |
|
심리학적 요인
부모의 과도한 훈육으로 강박증이 나타납니다. 부모님의 일관성 없이 아이를 대할 때, 지나치게 간섭을 많이 하고, 부모가 원하는 대로 엄격하게 아이의 행동을 통제하거나, 완벽하게 해낼 것을 무리하게 요구할 때 아이의 불안이 심해져 강박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 부모가 서로 싸우는 모습을 자주 보이면 아이의 불안이 심해져 강박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|
|
01
|
가스렌지나 수도꼭지, 문을 잠갔는지 몇 번씩 확인을 합니다.
|
|
02
|
손을 과도하게 씻거나 샤워를 오래 합니다.
|
|
03
|
여러 가지 물건의 수를 셈합니다.
|
|
04
|
반복적으로 의자에 앉고 일어섭니다.
|
|
05
|
특정 물건을 계속 청소하고 정렬합니다.
|
|
06
|
공부를 할 때 자주 수정을 합니다.
|
|
07
|
음식을 특정 횟수까지 씹습니다.
|
걱정하는 마음을 공감해 주고 긍정적으로 말해주세요.
강박증을 가진 아이들의 행동은 고의적인 행동이 아니니, 아이를 꾸짖거나 비난하기 보다는 강박증을 이겨내려는 노력을 격려해주세요.
구성심리상담센터의 인지행동치료와 심리치료를 병행한다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