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성 : 설문조사 및 기초 상담, 사건충격척도(IES-R)검사, 우울증 진단검사(K-B야, SGDS),
뇌파검사 등 심리검사
특징 : 아이 양육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경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양육방향과 방법을
제시해 드립니다.
외상 후 스트레스는 신체적인 손상과 생명의 위협을 받은 사고에서 심적 외상을 받은
후에 나타나는 증상입니다. 장애의 경과는사건의 강도나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다른데
진단된 환자의 30%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완전히 완쾌가 되고, 40%는 가벼운 증상이,
20%는 중간정도의 증상이 남아 있으며, 나머지 10%는 심한 증상이 계속되거나
악화됩니다. 충격이나 사건이 있을 때 너무 어리거나 너무 나이가 많아도 병의 경과가
좋지 않고, 원래 성격적 문제가 있었거나 적응을 잘 못 했던 사람들에게서도 병이 잘
낫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.
치료 : 인지행동치료(인지치료, 노출치료, 안구 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요법, 바이오피드백) ,
집단치료, 단기 정신역동 정신치료, 부부 및 가족치료, 약물치료